은교산의 구성 성분과 약리 작용
은교산은 금은화, 연교, 박하, 길경, 감초, 담죽엽, 형개, 두시, 우방자, 영양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은교산은 주로 호흡기 점막이 건조한 증상에 사용하는데, 감초는 영양 성분을 생성하여 점막 쪽을 보충합니다. 담죽염은 항염효과가 있습니다. 금은화, 연교는 항균작용과 항바이러스작용을 수행합니다. 박하, 두시, 형개는 땀샘에서 땀을 배출시켜서 해열효과를 나타냅니다.
은교산의 적응증
목이 칼칼하면서 건조하고 마른기침이 나는 목감기의 초기 증상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인후 쪽의 기관지 점막이 건조한 증상이 가장 뚜렷하며, 기침이 나고 통증과 발열도 약간 있습니다. 땀이나 오한과 같은 몸살 증상은 나타날 수도 있으나 없을 수도 있습니다.
목이 건조하고 붉게 충혈되며 통증이 수반되는 인후염의 증상도 관찰됩니다.
이런 증상은 주로 계절에 맞지 않게 무덥고 건조한 바람을 맞아서 기관지 쪽의 점막이 건조해지기 때문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봄과 가을의 건조한 바람, 장마철의 후덥지근한 열기, 겨울철의 과도한 난방 등이 원인이 됩니다. 공기 중의 습도가 많이 낮은 경우 호흡기의 점막을 건조하게 만들어 감염에 취약해집니다.
은교산의 사용법
1일 3회 복용하며, 미지근한 물에 녹인 후 인후 쪽을 적셔가면서 먹는 것이 효과가 좋습니다. 항균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충분히 고용량을 사용해야 합니다. 필요한 경우 항균효과를 위해 처방받는 항생제와도 함께 복용이 가능합니다.
은교산은 인후나 기관지의 점막의 염증을 완화시키므로 과로와 스트레스를 피합니다. 점막의 자극을 피하기 위해서 차가운 음식은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항균효과를 지니는 인후용 스프레이를 함께 사용하면 효과가 더 좋습니다.
주의사항
은교산은 몸을 차게 만드는 성질의 약재입니다. 따라서 은교산은 오한이 심한 몸살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복용 후에 손이나 발이 차가워지고 오한이 드는 증상이 발생하면 즉시 중단합니다.
은교산은 체내의 면역기능을 강화하기 때문에 과량을 복용 시 알레르기 증상이 더 심해질 수도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