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심근경색증의 원인과 정의
급성 심근경색증은 혈전에 의해 관상동맥이 막혀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혈전이 혈관을 막게 되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게 됩니다. 심장에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혈전에 의해 막히게 되면 혈액을 공급받지 못한 심장근육이 손상되고 급성심근경색증이 발생합니다.
관상동맥 내벽에 콜레스테롤이 축적되면 섬유성의 막이 생성되는데 이를 동맥경화반이라고 합니다. 이런 섬유성 막이 파괴되면 내부의 콜레스테롤이 혈관 내로 노출됩니다. 이 부위에 혈액이 뭉쳐 혈전을 형성하면서 관상동맥이 막힙니다.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인한 증상
절반 이상의 환자들은 심근경색증으로 인한 증상을 평소에 느끼지 못합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건강검진을 실시하여 조기 진단을 받고 적합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근경색증이 발병되면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극심한 흉통이 있습니다. 가슴이 찢어지거나 쥐어짜는 듯한 고통이 30분 이상 지속됩니다.
급성 심근경색증의 치료법
'관상동맥 확장 성형술'은 스텐트라고 불리는 금속 그물망을 이용하여 막힌 관상동맥을 직접적으로 뚫어주고 혈관을 확장시킵니다.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급성 심근경색증이 발병한 지 2시간 내에 병원이로 이송될 경우 약물치료보다 환자의 예후가 더 좋습니다.
혈전용해제를 이용하여 관상동맥을 막은 혈전을 녹이는 약물치료는 관상동맥 확장 성형술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에 한해서 적용됩니다.
급성 심근경색증의 주의사항
관상동맥 확장 성형술 또는 혈전용해제로 치료를 한 후 심근경색증이 재발하지 않도록 2차 예방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항혈소판제와 심장 근육의 손상을 저지하는 약물을 복용합니다. 또한 당뇨, 고혈압, 흡연, 고지혈증, 비만 등은 급성 심근경색을 악화시킬 수 있는 위험인자이므로 꾸준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급성 심근경색증은 증상이 없던 건강한 사람들에게서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어느 부위에서 급성 심근경색증이 발생할지 미리 알고 대비하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이는 혈관 내 직경이 크게 좁지 않은 부위에서 쉽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관상동맥질환의 위험인자가 많은 사람은 평소에 꾸준히 건강관리를 해야만 합니다. 관상동맥질환의 병력이 이미 있는 환자의 경우 재발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생활요법과 함께 예방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신 홍반성 낭창의 위험성과 치료방법 (0) | 2022.11.26 |
---|---|
결핵의 원인과 증상 및 약물 요법 (0) | 2022.11.25 |
직장암의 발병원인과 증상, 그리고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지침 (0) | 2022.11.23 |
위식도 역류질환이 의심될 때 적용할 수 있는 생활습관 (0) | 2022.11.20 |
협심증의 증상이 나타날 때 적용하는 치료법 (0) | 2022.11.19 |
댓글